[한국쓰리엠, 호흡보호구] 화학 물질 급성 중독,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


-


 급성 중독 등으로 인한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하며, 사고가 발생한 각 사업장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받고 있습니다. 산업현장에서 특히 세척제로 많이 사용되는 화학물질은 쉽게 접할 수 있는 만큼 그 위험성을 자각하기 쉽지 않은데요. 적절한 보호 없이 화학 물질에 노출될 경우 각종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고용노동부가 공표한 '2021년 산업재해 발생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업무상 사고 사망자는 2020년 대비 6.1% 감소한 828명으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업무상 질병 사망자는 6.1% 늘어난 1천252명으로, 작업자 1만 명당 업무상 질병으로 숨진 작업자는 0.65명으로 1만 명당 사고로 숨진 작업자(0.43명)보다 높은 수준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업무상 질병 중에서도 유해 물질 중독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금속·중금속 중독 5명, 유기화합물 중독 13명, 기타 화학물질 중독 50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25%, 44.4%, 28.2%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유해 화학 물질이란, 사람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물질을 말합니다. 분해되기 어렵고, 생물의 체내에 축적되기 쉬운 화학물질들로 다량 방출될 경우 각종 암이나 피부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약 1,200만 종이 존재하며, 매년 2천여 종의 새로운 화학물질이 개발되는데요. 국내에도 무려 4만 5천여 종의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화학 물질 급성 중독 사례를 통해 화학물질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 급성 중독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현장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화학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트리클로로메탄(클로로포름)





 지난 2월 창원 소재 전자제품 부속품 생산 사업장에서 근로자 16명이 세척제에 함유된 트리클로로메탄(클로로포름)에 노출되어 급성 독성간염이 발생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사업장 대표이사를 검찰에 송치했는데요. 올해 1월 27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첫 기소 의견 송치입니다.

 세척 공정에 국소 배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아 세척조에서 발생한 유해 물질이 방독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근로자에게 직접 노출된 것을 재해 원인으로 보고 있는데요. 현재 동일한 세척제를 사용하고 있는 사업장을 확인, 조사 중입니다. 사업장에서 사용된 트로클로로메탄은 아래와 같이 신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 중추신경계 : 중추신경계 억제 고농도 노출 시 무의식, 혼수 발생

 - 간담도계 : 간수치 상승, 황달, 간비대 등 간 손상 발생하며, 심할 경우 사망 유발 가능

 - 비뇨기계 : 신장 손상

 - 피부 : 피부 건조, 충혈, 홍반, 수포형성 등


 이번 사례로 많은 산업체가 화학물질 취급 공정 점검에 더욱 집중하고 있는데요. 트로클로로메탄과 같은 각종 금속 제품 세척제는 기본적으로 유해성이 강하므로 충분한 안전보건 조치 후 사용하여야 합니다. 유해성이 낮은 제품을 선정해야 하며, 국소 배기장치를 설치 및 가동하고 방독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합니다. 또한 세척 공정을 격리해야 합니다.


 2) 티클로로메탄(MC)



 지난 3월 인천 소재 전자제품 분체도장 사업장에서 세척조 청소작업 중 근로자 1명이 세척조 내 잔류 디클로로메탄(MC)에 급성 중독되어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측정 결과 MC의 세척조 내부 농도는 3,468ppm으로, IDLH 수치(즉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농도)인 2,300ppm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는데요.

 재해 원인으로는 세척조 작업 시 송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 고농도 MC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점 그리고 급기 또는 환기팬을 이용하여 환기하지 않은 점, 작업지휘 감독자를 배치하지 않고 1인 단독 작업을 실시한 점을 꼽고 있습니다. 디클로로메탄 역시 아래와 같이 중추신경계와 심장, 신장, 간에 손상을 일으키는 위험 물질입니다.


 - 급성중독에 의한 사망(고농도 폭로)

 - 중추신경계 손상, 대뇌 기능 저하

 - 심장독성, 허혈성 심질환 발생

 - 발암성(간 담도암, 비호지킨성 림프종) 의심


이처럼 세척조 내 청소, 수리 작업은 세척제 잔류로 인한 급성중독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 조치 후 작업을 실시해야 합니다. 방독마스크는 통상 노출 기준의 10배까지 호흡기를 보호하므로 반드시 송기 마스크를 착용한 뒤 작업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급기 또는 배기 팬을 활용하여 환기를 해야 하며 작업지휘 감독자를 배치하고 위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2인 이상 작업을 권장합니다.


급성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연이은 세척 공정 급성중독 사고에 고용노동부는 화학물질 급성중독 사고와 관련 세척 공정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장에 대한 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사고 물질이었던 트리클로로메탄과 디클로로메탄은 모두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대상유해물질에 해당하는데요. 지난 2020년도 10월 개정된 KOSHA Guide에서도 해당 물질의 취급 방법 등이 반복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만큼 사전 예방이 충분한 사고가 아니었을까 하는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급성중독의 경우 대부분의 사고는 호흡보호구 미사용 및 화학물질 노출로 인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현장에 어떤 유해인자가 존재하는지, 각 환경에 적합한 호흡보호구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적절한 호흡보호구 착용과 물질안전보건자료에 대한 게시 및 사전 교육, 국소 배기장치 등의 기본적인 산업보건 관리 조치가 필요합니다.



3M 호흡보호구 선정 프로그램 예시

3M은 호흡보호구 선정 프로그램과 같이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유해 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하실 수 있도록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카탈로그에서 직업성 질병의 특징, 유해 물질의 종류와 노출 기준 및 

필요 호흡보호구 부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중대재해처벌법과 3M의 다양한 솔루션을 확인해보실 수 있으니 

아래 자료를 다운받아 자세히 알아보세요! 🧐




현장에 적절한 솔루션, 3M산업안전보건 전문가들과의 심층적인 상담을 통해 

사업장에 적합한 솔루션을 찾아보세요!

지금 상담을 신청해보세요 😊




KOSHA GUIDE 호흡보호구 선정관리 지침 핵심 요약 가이드도 준비했으니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해 보세요!




지금까지 화학 물질 급성 중독과 3M의 다양한 솔루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3M과 함께 안전한 하루 보내시길 바라며,

다음 시간에는 3M 기술로 더욱 안전해진 HF-800 신제품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3M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시고 카카오채널을 등록해주시면

산업안전 관련 정보를 손쉽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3M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hoy.kr/p4Hx9

▶3M카카오 플러스 친구 신청하기: https://pf.kakao.com/_psSyd





Read More »

[한국쓰리엠, 호흡보호구, 추락방지] 중대재해처벌법, 현장에서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




어느덧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지 100일을 넘긴 가운데, 법에 대한 이해와 실효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데요.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해 여러분은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산업 현장의 뜨거운 감자! 이번 시간에는 중대재해처벌법과 3M의 호흡보호구, 추락안전/밀폐공간 솔루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중대재해처벌법이란,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의 안전 및 보건을 확보하도록 경영책임자에게 의무를 부과한 법률입니다. 경영책임자가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를 다하지 않아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중대산업재해란 산업 재해 중 심각한 재해로 다음의 재해를 말합니다.

- 산업재해며 사업자가 1명 이상 발생

-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

- 동일한 유해 요인의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 3명 이상 발생

* 급성중독, 독성간염, 혈액 전차성 질병, 산소결핍증, 열사병 등 24개 질병



중대재해처벌법은 상시근로자가 5명 이상인 사업 또는 사업장에 적용되는데요. 여기서 ‘사업 또는 사업장’은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장과 달리 경영상 일체를 이루는 조직 단위로서 법인, 기관, 기업 그 자체를 말합니다. 다만, 개인사업자나 상시근로자가 50명 미만인 사업 또는 사업장(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원 미만의 공사)의 경우 2024년 1월 27일부터 적용됩니다.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은 의무 주체, 보호 대상, 적용 범위, 재해 정의 부분에서 위 표와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산업 현장에서 중처법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치를 취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호흡보호구 솔루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중대재해처벌법에서는 사업주에게 ’보호구 지급 및 관리 의무’가 있습니다. 사업주는 근로자의 작업 조건에 맞는 보호구를 작업하는 근로자 수 이상으로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해야 하며, 지급한 보호구를 상시 점검해 수리 및 교환하는 등 관리의 의무가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현장에서 개인보호구의 착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요.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개인보호구 미착용 현장 현황 확인 시 안전 관리 불량 현장은 약 70%에 육박했습니다. 또한 급성중독의 경우 대부분의 사고가 호흡보호구 미사용 및 화학물질 노출로 인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산업현장에는 직업성 질병을 유발하는 다양한 유해인자가 존재하며, 각 환경에 적합한 호흡보호구 착용이 요구되고 있는데요. 호흡보호구는 어떠한 기준으로 선택해야 할까요?


3M에서는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보호계수를 가진 호흡보호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표를 통해 호흡보호구 형태별 구분과 할당보호계수를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보호계수(Protection Factor, PF)란 호흡보호구 바깥쪽에서의 공기 중 오염물질 농도와 안쪽에서의 오염물질 농도비로 사용자 보호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를 말합니다. 할당보호계수(Assigned Protection Factor, APF)란 잘 훈련된 사용자가 호흡보호구를 착용했을 때 특정 형태의 호흡보호구가 제공할 수 있는 보호계수의 기대치로 아래의 표를 통해 호흡보호구별 할당보호계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험한 산업 현장 및 의료 현장에서 외부 유해인자의 유입을 철저하게 막아주는 호흡보호구의 기능성은 근로자의 생명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밀착도 검사는 호흡보호구의 밀착을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시험 물질의 맛, 냄새, 자극을 감지할 수 있는 착용자의 능력에 의존하여 누설 여부를 확인하는 정성 밀착도 검사와 착용자의 감지 능력과 무관하게 별도의 검사장비 활용하여 데이터(밀착도 = Fit factor)를 산출한 뒤 기준과 비교하여 합격 / 불합격 선정하는 정량 밀착도 검사 중 근로자의 작업 환경과 상황에 따라 적절한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3M에서는 호흡보호구의 올바른 착용과 사용을 돕기 위하여 밀착도 검사와 호흡보호구 선택 가이드, 3M™ 호흡보호구 선정 및 교체주기 소프트웨어(S&SL) 등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중대재해처벌법 카탈로그를 통해 밀착도 검사와 3M이 제공하는 다양한 호흡보호구 솔루션에 대해 알아보시고 3M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호흡보호구를 선택하고 사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카탈로그는 이번 컨텐츠 하단에 링크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



추락안전, 밀폐공간 솔루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3년간(18년~20년) 산재사망사고 2,011건(2,041명)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추락방지 시설 등 안전시설 미설치 1,059건(52.7%), 작업 방법 미준수 737건(36.6%), 작업 절차 미수립710건(35.3%), 안전모, 안전대 등 보호구 미지급, 미착용 601건(29.9%)이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지난 시간 밀폐공간과 그 위험 요소에 대해 설명해 드렸는데요. 중독, 질식 사망 재해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만큼 밀폐공간에서의 작업 시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밀폐공간 컨텐츠 지금 바로 확인하기

👇👇

https://blog.naver.com/3m-safety/222734691705





3M은 밀폐공간 추락안전에 관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근로자는 출입구의 형태 또는 밀폐공간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밀폐공간 추락방지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M의 새로운 사다리 추락방지 시스템인 3M™ DBI-SALA® Lad-Saf™ 사다리 추락방지 시스템은 설치 과정을 단순화시켜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도록 재설계 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모델 대비 부품 수를 최대 72% 감소시킴에 따라 고정식 사다리, 통신탑 등의 다양한 구조물에 손쉽게 설치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습니다. 또한, X2나 X3 슬리브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최신 ANSI Z359.16 표준의 요구사항에 부합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사다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추락방지 솔루션들로 고소작업 유형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추락방지 솔루션을 적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고정형 H빔 앵커

- 수직 또는 수평 H빔에 부착이 가능한 앵커이며 손잡이를 돌려 H빔에 빠르게 고정점 설치가 가능

- H빔에서 안전대/안전블럭을 거는 용도로 적합하며 임시 수평 추락방지 시스템의 앵커로 적합

슬라이딩 빔 앵커

- 수평 H빔에 부착이 가능한 빔 앵커로 작업자가 H빔에서 수평으로 이동 시 사용 가능한 앵커

- H빔에 탈착이 간편하며 360도 회전형 D링이 적용되어 이동 시 줄꼬임을 방지

- 교체형 패드 적용

웹 타이-오프 어댑터

- 고소 작업 시 손쉽게 안전대 걸이 시설을 만들 수 있는 휴대용 웹 앙카

- 다양한 길이가 제공되며 마모방지 패드 적용

EZ-Line™ (이지라인) 휴대용 수평 생명줄

- 3M™ DBI-SALA® Lad-Saf™은 내장형 원치를 적용하여 현장에서 신속하게 수평 생명줄 설치가 가능

- 최대 18.25m까지 사용 가능

- 내장형 프리텐션(Pre-Tension) 및 충격 표시 기능을 적용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장비 검사가 용이

- 2명까지 동시 작업 가능

3M은 다양한 형태의 고소작업 유형에 적용 가능한 맞춤형 추락방지 솔루션들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작업 환경과 근로자의 작업에 적합한 솔루션으로 근로자를 보호하고 더 안전한 산업 현장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3M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함께 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절한 솔루션을 제안해 드리는 카달로그를 준비했습니다!

아래 자료를 다운받아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


현장에 적절한 솔루션, 어떻게 선택해야 할지 모르시겠다구요?

3M산업안전보건전문가가 도와드립니다!

지금 무료 상담을 신청해보세요 😊



KOSHA GUIDE 요약본 자료도 준비했으니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해 보세요!





지금까지 중대재해처벌법과 3M의 다양한 솔루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3M과 함께 안전한 하루 보내시길 바라며,

다음 시간에는 화학 물질 급성 중독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3M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시고 카카오채널을 등록해주시면

산업안전 관련 정보를 손쉽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 3M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hoy.kr/p4Hx9

▶ 3M 카카오 플러스 친구 신청하기: https://pf.kakao.com/_psSyd

 



Read More »

가장 많이 본 글